스마트폰을 개통할 때 5G 요금제로 개통을 하신 후에 LTE 요금제로 변경하려는 분들 있으시죠?
통신사 또는 114에 문의해도 5G 요금제를 LTE 요금제로 변경하는 것은 안된다고 말을 할 것입니다. 저 또한 그런 경험이 있는데요. 통신사들이 5G 가입자를 유치하려는 하나의 꼼수라고도 생각합니다. 약간의 시간만 투자하면 아주 손쉽게 LTE 요금제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그럼 아래 내용을 끝까지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5G 요금제 LTE 요금제로 변경하기 위한 준비물

5G요금제에서 LTE요금제로 변경하기 위해 몇 가지 준비물이 있습니다. 먼저 본인이 사용하는 5G핸드폰, 그리고 유심칩 제거를 위한 뾰족한 물건(이건 보통 스마트폰 구매 시 동봉),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LTE요금제를 기본으로하는 공기계 핸드폰이 필요합니다.
만약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LTE요금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없다면, 부모님이나 지인분들에게 잠시 스마트폰을 빌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다른 분들 것을 빌려서 사용한다면, 유심칩을 제거 후 아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유심칩이 정상적으로 장착 되어있는 5G스마트폰, 유심칩 제거를 위한 바늘, 유심칩이 제거되어있는 4G스마트폰입니다.
5G 요금제 LTE 요금제로 변경 방법

- 제일 먼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는 5G 핸드폰에 유심칩을 제거해줍니다!
- 5G 핸드폰에서 제거한 유심칩을 LTE 핸드폰에 그대로 장착해줍니다! 처음에는 바로 인식이 안될 수 있으니, 재부팅을 하거나 통신 설정 초기화 등을 통해 LTE 핸드폰에 유심칩이 잘 잡힐 수 있도록 해주세요!
- LTE 핸드폰에 유심칩을 장착하셨으면 통신사 앱에 접속하셔서 LTE 요금제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통신사 앱 사용이 어려운 분들은 114에 전화신 후에 LTE 요금제로 변경을 요청해주세요!
- 정상적으로 LTE요금제로 변경이 되었다면, LTE폰에 있는 유심칩을 제거해서 원래 본인이 사용하던 5G 핸드폰에 유심칩을 장착해주세요
KT 5G요금제에서 LTE요금제 변경 방법
114로도 변경이 가능하지만, 야간이나 공휴일에도 KT앱으로 손쉽게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 먼저 ‘마이케이티’ 라는 앱을 다운로드
- 메뉴에 마이 선택해서 요금제 변경
- 자신에게 맞는 적당한 LTE요금제 선택
- 문자로 LTE요금제 가입 안내 받으면 변경 완료
SKT 5G요금제에서 LTE요금제 변경 방법
위와 마찬가지로 114로 요금제 변경이 가능하지만, SKT앱으로 손쉽게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 SKT 전용 어플 ‘T world’ 앱 다운로드
- 왼쪽 상단에 메뉴 선택 후 요금제 선택
- ‘전체 요금제’ 선택
- 본인이 원하는 요금제 선택 후 변경
- 문자로 LTE 요금제 가입 안내 받으면 변경 완료
5G 요금제에서 LTE 요금제 변경 시 주의사항
아래의 내용은 통신사 별로 알려진 주의사항인데요. 구매를 할 때 들은 조건마다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핸드폰 구매 시 6개월은 유지해주셔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으셨다면, 6개월 유지 후에 LTE요금제로 변경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추후 위약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자세하게 확인해보시려면 114에 전화해서 확실하게 알아보고 요금제 변경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선택 약정으로 구매한 경우(매월 25% 할인혜택을 받고 있는 것)
- KT의 경우 제한없이 변경 가능
- SKT 역시 제한 없이 변경 가능
- LG는 변경 조건이 까다로워서 5G 요금제 안에서 하향하는 것을 추천
공시지원금으로 구매한 경우(초기에 스마트폰 구매 시 할인 받은 것)
- KT 는 20년 8월 31일까지 개통 요금제 제한 없이 변경 가능. 하지만 20년 9월 1일 이후 개통 시 47,000원 이상의 요금제로만 변경이 가능
- SKT는 19년 12월 2일 이전 개통 시 제한 없이 변경이 가능, 19년 12월 2일~20년 6월 30일 개통하신 분들은 LTE 요금제로 변경이 불가능 20년 7월 1일 이후 개통하신 분들은 45,000원 이상의 요금제로는 변경이 가능
- LG는 선택약정과 비슷하게 LTE 요금제로는 변경이 힘들고, 5G 요금제 안에서 하향하는 것을 추천